부모가 알아야 할 디지털
아이들이 디지털에 빠져서 책을 읽지 않는다고 걱정하는 부모들이 많다. 책은 오랫동안 인간의 지식과 지혜의 결정체였고, 독서는 지적 훈련의 중요한 부분이었기 때문이다. 디지털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는 책을 대신할 수 있을까? 그 답은 디지털을 인쇄된 책의 방해물로 볼 것인지, 아니면 새롭게 진화된 책으로 인정할 것인지에 달려 있다.
지난 4월13일 구글은 ‘테드 2018’ 콘퍼런스에서 사람의 질문을 이해하고, 그 답이 되는 책의 문장을 찾아주는 인공지능 기반의 ‘톡 투 북스’(books.google.com/talktobooks) 서비스를 선보였다. 질문 속 검색어가 ‘포함’된 문장을 보여주는 책 검색과는 달리, 질문의 의미를 파악하고 10만여 권의 책에서 그 맥락이 통하는 부분을 찾아주는 것이다.
‘언론 자유는 왜 중요한가’라는 질문에 “자유언론의 주요 역할은 시민들의 더 나은 삶과 사회 발전을 위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지만, “공공의 이익을 위한 독립된 소리라는 자유언론의 정신이 이익과 광고에 점점 더 종속되어 약화되고 있다”고 책에 있는 내용으로 대답한다.
인공지능 덕분에 책이 말귀를 알아듣게 된 것이다. ‘책과 대화’하라는 ‘톡 투 북스’ 서비스는 디지털 시대의 달라진 독자와 책의 관계를 보여준다. 책의 내용이 독자에게 전해지는 일방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작용하는 것이다.
구글에 따르면 2010년 현재 근대 이후 출판된 책은 1억3천만 종에 달한다고 한다. 구글 책 서비스에는 2500만 종의 책이 디지털화되어 있다. 전통적 방식의 독서로 우리 것으로 만들 수 있는 책은 몇 권이나 될까? 정보가 폭증하지만 ‘다섯수레 분량의 책은 읽어야 한다’는 옛말조차 부담스러운 현실이다.
인쇄된 것만이 책이라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책이 담고 있는 가치가 디지털이라는 새로운 형식에서 더 빛을 발할 수 있다면 기꺼이 수용해야 할 것이다. 디지털 독서는 ‘책을 읽는 것’이 아니라 책 속에 담긴 ‘인류의 집단지성’과 살아있는 대화를 하는 것이다.
이재포 협동조합 소요 이사장
아이들이 디지털에 빠져서 책을 읽지 않는다고 걱정하는 부모들이 많다. 책은 오랫동안 인간의 지식과 지혜의 결정체였고, 독서는 지적 훈련의 중요한 부분이었기 때문이다. 디지털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는 책을 대신할 수 있을까? 그 답은 디지털을 인쇄된 책의 방해물로 볼 것인지, 아니면 새롭게 진화된 책으로 인정할 것인지에 달려 있다.
지난 4월13일 구글은 ‘테드 2018’ 콘퍼런스에서 사람의 질문을 이해하고, 그 답이 되는 책의 문장을 찾아주는 인공지능 기반의 ‘톡 투 북스’(books.google.com/talktobooks) 서비스를 선보였다. 질문 속 검색어가 ‘포함’된 문장을 보여주는 책 검색과는 달리, 질문의 의미를 파악하고 10만여 권의 책에서 그 맥락이 통하는 부분을 찾아주는 것이다.
‘언론 자유는 왜 중요한가’라는 질문에 “자유언론의 주요 역할은 시민들의 더 나은 삶과 사회 발전을 위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지만, “공공의 이익을 위한 독립된 소리라는 자유언론의 정신이 이익과 광고에 점점 더 종속되어 약화되고 있다”고 책에 있는 내용으로 대답한다.
인공지능 덕분에 책이 말귀를 알아듣게 된 것이다. ‘책과 대화’하라는 ‘톡 투 북스’ 서비스는 디지털 시대의 달라진 독자와 책의 관계를 보여준다. 책의 내용이 독자에게 전해지는 일방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작용하는 것이다.
구글에 따르면 2010년 현재 근대 이후 출판된 책은 1억3천만 종에 달한다고 한다. 구글 책 서비스에는 2500만 종의 책이 디지털화되어 있다. 전통적 방식의 독서로 우리 것으로 만들 수 있는 책은 몇 권이나 될까? 정보가 폭증하지만 ‘다섯수레 분량의 책은 읽어야 한다’는 옛말조차 부담스러운 현실이다.
인쇄된 것만이 책이라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책이 담고 있는 가치가 디지털이라는 새로운 형식에서 더 빛을 발할 수 있다면 기꺼이 수용해야 할 것이다. 디지털 독서는 ‘책을 읽는 것’이 아니라 책 속에 담긴 ‘인류의 집단지성’과 살아있는 대화를 하는 것이다.
이재포 협동조합 소요 이사장